본문 바로가기
Money/임대사업과 건물관리

전세권 설정 절차와 비용 안내 -> 법무사 통해 전세권 등기 신청, 40만~60만 원 수준

by Urban Wanderlust 2025. 7. 10.
반응형

전세 계약을 앞두고 “전세권 설정을 해야 할까?” 고민하는 세입자들이 많습니다.
전세권 설정은 확정일자나 전입신고보다 강력한 법적 권리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전세권 설정 절차와 비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.


✅ 전세권 설정이란?

전세권이란 세입자가 일정 금액(전세금)을 지급하고,
해당 부동산을 등기부등본에 등록된 물권으로 점유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
전세계약만으로는 단순한 채권관계지만, 전세권 설정을 하면 강제집행도 가능해지는 강력한 보호 장치가 됩니다.


✅ 전세권 설정 절차 요약

전세권을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단계가 필요합니다.

1. 임대인과 전세권 설정 협의

  • 전세권은 임대인의 동의 없이는 불가능
  • 계약 전 또는 계약서 작성 시 전세권 설정 여부 명시

2. 전세권 설정 계약서 작성

  • 기존 전세계약서와 별도 또는 포함 가능
  • 전세권자(세입자)와 설정자(임대인) 서명 필요

3. 필요 서류 준비

임대인 인감증명서, 신분증 사본, 인감도장  
세입자 신분증, 인감도장  
공통 전세계약서, 전세권 설정 계약서, 등기신청서 등  
 

4. 등기소 또는 법무사 통해 전세권 등기 신청

  • 직접 신청도 가능하지만, 대부분 법무사 대행 활용

5. 등기 완료 후 등기부등본 확인

  • 전세권 설정 내용이 등기부등본에 기재되었는지 확인

✅ 전세권 설정 비용 안내 


 

👉 총비용은 약 40만~60만 원 수준이 일반적입니다.


✅ 전세권 설정 시 주의사항

  • 임대인의 협조가 필수: 인감증명서, 도장 등 직접 받아야 함
  • 등기 말소도 중요: 계약 종료 시, 전세권 말소등기도 별도로 진행해야 함
  • 등기 전 사기 주의: 먼저 전입한 세입자 또는 근저당권이 있으면 위험

 

확정일자, 전입신고만 하면 전세권 설정 안 해도 괜찮을까? -> 경매 우선순위 확보 등 강력한 세입자 보호

 

확정일자, 전입신고만 하면 전세권 설정 안 해도 괜찮을까? -> 경매 우선순위 확보 등 강력한 세

전세 계약을 맺은 세입자라면 누구나 전세금을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됩니다.이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이 바로 ‘전입신고’와 ‘확정일자’ 받기인데요.그렇다면 이 두

focusedfrantic.com

 

세입자가 전세권 설정을 요구하는 이유 -> 전세금을 회수할 수 있는 권리

 

세입자가 전세권 설정을 요구하는 이유 -> 전세금을 회수할 수 있는 권리

전세 계약을 체결할 때 일부 세입자들은 ‘전세권 설정’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단순히 계약서만 작성하는 일반 임대차와 달리, 전세권 설정은 부동산 등기부에 등재되는 ‘물권’ 등록

focusedfrantic.com

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