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한라주공4단지 1차 아파트는 현재 재건축을 추진 중이며, 향후 진행해야 할 주요 절차와 각 단계별 예상 소요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정비구역 지정
- 절차: 정비계획을 수립하고 관할 지자체로부터 정비구역으로 지정받는 과정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1~2년
2. 조합 설립 인가
- 절차: 주민 동의를 받아 재건축 조합을 설립하고, 이를 관할 지자체에서 인가받는 단계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1년
3. 시공사 선정
- 절차: 조합이 설립된 후 시공사 입찰 및 선정 과정 진행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6개월~1년
4. 사업시행인가
- 절차: 재건축 계획을 구체화한 사업시행계획서를 작성하고 지자체 인가를 받는 과정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1년
5. 관리처분계획 인가
- 절차: 조합원 분양 및 분담금 계획을 확정하고 지자체 인가를 받는 단계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6개월~1년
6. 이주 및 철거
- 절차: 조합원 및 세입자의 이주, 기존 건물 철거 진행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6개월~1년
7. 착공 및 분양
- 절차: 신축 아파트 공사 착공 및 일반 분양 진행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2~3년
8. 준공 및 입주
- 절차: 공사 완료 후 사용승인을 받고 입주 시작.
- 예상 소요 기간: 약 6개월
종합적으로, 현재 단계부터 최종 입주까지 약 8~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. 다만, 각 단계별 진행 속도, 행정 절차, 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
[재건축] 자가거주 vs. 전/월세 거주자가 높은 경우 -> 재건축 추진에 어떤 영향?
[재건축] 자가거주 vs. 전/월세 거주자가 높은 경우 -> 재건축 추진에 어떤 영향?
소형 평수가 많은 아파트에서 실거주 비율이 높은 경우와 전·월세 거주자가 많은 경우에 따라 재건축 추진 속도와 방식이 다르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1. 실거주 비율이 높은 경우 (자가 거
focusedfrantic.com
재건축 아파트를 이주시점까지 전세로 줄 수 있나? -> 계약 종료와 이주 시점이 맞지 않으면 문제 발생할 수 있음.
재건축 아파트를 이주시점까지 전세로 줄 수 있나? -> 계약 종료와 이주 시점이 맞지 않으면 문제
재건축 아파트를 이주시점까지 전세로 줄 수 있는지는 다음과 같은 법적·실무적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.1. 재건축 추진 단계에 따른 전세 가능 여부✔ 재건축 초기 단계 (추진위·조합 설립 전
focusedfrantic.com
반응형
'Money > 다가구주택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종 주거지역 vs 3종 주거지역 → 재건축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3.14 |
---|---|
[재건축] 재건축 아파트 투자시 평형별 수익성을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이유 (1) | 2025.03.10 |
재건축 아파트를 이주시점까지 전세로 줄 수 있나? -> 계약 종료와 이주 시점이 맞지 않으면 문제 발생할 수 있음. (1) | 2025.03.10 |
[재건축] 자가거주 vs. 전/월세 거주자가 높은 경우 -> 재건축 추진에 어떤 영향? (1) | 2025.03.10 |
소형평수가 대부분인 아파트의 재건축 추진시 문제점과 이슈 -> 소형 평수 거주자의 부담 증가로 (0) | 2025.03.1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