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아파트를 전세로 줄지 월세로 줄지 고민할 때는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본인의 재정 상황과 목표에 맞는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.
1. 전세(보증금 임대)
✅ 장점
- 목돈 확보 가능
- 전세금(보증금)을 한 번에 받기 때문에 큰 돈을 단기간 활용할 수 있음
- 투자(예: 다른 부동산, 주식, 예금 등) 기회가 생길 수 있음
- 세금 부담 감소
- 월세 수익이 없기 때문에 종합소득세 부담이 없음
- 일정 금액 이상 월세를 받을 경우 부가세, 소득세 신고 의무가 있지만, 전세는 해당 없음
- 관리 부담 적음
- 월세처럼 매달 관리할 필요 없음
- 임차인의 연체나 퇴거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적음
- 공실 위험이 낮음
- 전세 수요는 상대적으로 꾸준하여, 월세보다 공실 위험이 적음
❌ 단점
- 수익성이 낮음
- 월세에 비해 지속적인 현금흐름이 없음
- 받은 보증금으로 투자하지 않으면 자금 활용성이 떨어짐
- 전세금 반환 부담
- 세입자가 나갈 때 보증금을 돌려줘야 하므로 자금 유동성이 필요함
- 부동산 시장 상황에 따라 전세가 하락하면 보증금 반환이 어려울 수 있음
- 전세가율 리스크
- 전세가율(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)이 높은 지역에서는 집값 하락 시 보증금 반환 문제 발생 가능
2. 월세(보증금+월세 임대)
✅ 장점
- 지속적인 현금흐름 확보
- 매월 월세 수익이 발생하여 생활비나 대출 상환에 도움이 됨
- 꾸준한 현금 흐름을 원할 경우 적합
- 보증금 반환 부담이 적음
- 월세 계약에서는 전세보다 보증금이 적으므로 세입자 퇴거 시 큰 금액을 돌려줄 부담이 적음
- 자산 가치 하락 방어 가능
- 집값이 하락해도 일정한 임대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음
❌ 단점
- 공실 위험이 크다
- 월세는 전세보다 수요가 적어 세입자 모집이 어려울 수 있음
- 공실이 길어지면 수익이 끊기므로 손실 위험이 있음
- 세금 부담 증가
- 월세 수입이 사업소득 또는 금융소득으로 간주되어 세금 부담이 발생
- 2,0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- 관리 부담 증가
- 매달 월세를 받아야 하므로 연체 및 미납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음
- 세입자와 계약 관리, 시설 수리 등의 문제가 잦을 수 있음
전세 vs. 월세, 어떤 것이 더 유리할까?
✔ 전세가 유리한 경우
- 목돈이 필요하고, 전세금을 활용해 투자할 계획이 있음
- 종합소득세 부담을 피하고 싶음
- 공실 걱정 없이 안정적인 임대 운영을 원함
✔ 월세가 유리한 경우
- 매달 현금흐름이 필요한 경우 (예: 대출 상환, 생활비)
- 전세금 반환 부담을 피하고 싶음
- 장기적으로 임대수익을 원하는 경우
임대수익 목적의 갭투자는 소형, 중형 어떤 평수가 좋을까?
임대수익 목적의 갭투자는 소형, 중형 어떤 평수가 좋을까?
임대수익 목적의 갭투자에서는 소형(전용 59㎡ 이하)과 중형(전용 60~85㎡) 평수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.1. 소형 평수 (전용 59㎡ 이하)✅ 장점임차 수요가 많음: 1~2인 가구 증가로 인해 소형 아
focusedfrantic.com
[갭투자 가이드] 월세 수익률 계산하기
[갭투자 가이드] 월세 수익률 계산하기
■ 월세 수익률 = (집에서 나오는 돈 / 집에 들어간 돈) × 100% 조건 - 매수가 : 4.4억 - 대출금액 : 2.7억(주담대 2억 +신용 7천, 이율 5%) - 현금 투자금액 : 7천 - 월세보증금 : 1억(갭 3.4억) - 취득세 : 540
focusedfrantic.com
반응형
'Money > 다가구주택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재건축] 자가거주 vs. 전/월세 거주자가 높은 경우 -> 재건축 추진에 어떤 영향? (1) | 2025.03.10 |
---|---|
소형평수가 대부분인 아파트의 재건축 추진시 문제점과 이슈 -> 소형 평수 거주자의 부담 증가로 (0) | 2025.03.10 |
다주택자도 전세자금대출 가능한가? (0) | 2025.02.21 |
다주택자도 전세자금대출 가능한가? (0) | 2025.02.20 |
갭투자시 필요한 부대 비용 리스트 : 필수 비용, 대출 관련 비용, 세금 관련 비용 (0) | 2025.02.1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