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Health

렌즈삽입 수술, 보험 적용되나? -> 건강보험 비급여가 원칙, 치료 목적일 경우 예외

by Urban Wanderlust 2025. 7. 25.
반응형

시력 교정 수술 중 하나인 렌즈삽입 수술(ICL, 안내렌즈삽입술) 은 각막을 깎지 않고 눈 속에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방식으로, 특히 고도근시·난시 환자들에게 많이 선택됩니다. 그러나 수술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궁금증은 바로 “이 수술이 건강보험이나 실손보험 적용이 되는가?” 입니다.

아래에서 보험 적용 여부와 비용, 그리고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정리했습니다.


✅ 1. 건강보험 적용 여부

일반적인 시력 교정 목적

  • 건강보험 비급여가 원칙입니다.
  • 이유: 국민건강보험에서는 ICL과 같은 시력교정 수술을 미용·기능 개선 목적으로 분류합니다.
  • 라식·라섹과 마찬가지로, 근시·난시 교정만을 위한 수술은 의료적 치료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
의료적 치료 목적일 경우 예외 적용 가능

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건강보험 적용 가능성이 있습니다.

  • 외상으로 인한 안과적 손상 치료
  • 백내장 등의 질환 치료 목적
  • 선천적 안구 기형 치료

하지만 이 경우도 대부분 ICL이 아니라 인공수정체 삽입술(백내장 수술) 로 진행되며, ICL이 보험 적용되는 사례는 극히 드뭅니다.


✅ 2. 실손보험(실비보험) 적용 여부

대부분 적용 불가

  • 실손보험 약관에는 “시력교정 목적의 수술”이 면책(보상 제외) 항목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.
  • 라식, 라섹, 스마일라식 등과 마찬가지로 렌즈삽입 수술도 보장 대상이 아닙니다.

적용 가능한 특수 사례

  • 백내장, 외상 등 의료적 필요성이 입증되면 실손보험 청구가 가능할 수 있습니다.
  • 단, 이 경우에도 수술명은 ICL이 아닌 백내장 수술 코드로 청구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.

: 실손보험 적용 가능 여부는 수술 전 반드시 보험사에 사전 문의해야 하며, 약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
✅ 3. 렌즈삽입 수술 전 꼭 확인해야 할 것

  1. 보험 적용 여부
    • 건강보험, 실손보험 적용 가능성은 극히 낮으나, 질환 목적일 경우 사전 상담 필수
  2. 수술 후 관리 비용
    • 수술 후 항생제·안약 사용, 정기 검진 등의 비용도 비급여
  3. 수술 가능 여부
    • 각막 두께, 안구 구조, 시력 등 개인별 조건에 따라 수술 가능 여부가 달라지므로 정밀 검사가 필요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