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고령인구(65세 이상) 통계

■ 고령인구의 취업
2022년 65세~79세 고령자의 54.7%가 취업 의사가 있고, 지난 10년간 12.1%p 증가, 취업을 원하는 사유는 생활비 보탬이 53.3%로 가장 높았으며, 지난 10년간 2.3%p 증가함

■ 노후준비
2021년 노후를 준비하는 고령자는 56.7%로 지난 10년간 16.6%p 증가함

■ 고령인구 추이
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7.5%, 2025년 초고령사회에 진입

■ 고령인구 남/녀 비중
2022년 고령인구 비중은 여자 19.7%, 남자 15.3%임

■ 지역별 고령인구
2022년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(24.5%),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(9.9%)임

■ 고령자 가구 비중 및 가구 유형
2022년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24.1%임

■ 이혼 및 재혼
2021년 전체 이혼과 재혼은 전년 대비 감소하였으나 65세 이상 이혼과 재혼은 증가

■ 기대여명
2020년 65세의 21.5년, 75세의 기대여명은 13.3년임

■ 사망원인별 사망률
2021년 고령자의 사망원인은 암, 심장질환, 폐렴, 뇌혈관질환, 알츠하이머병 순임

■ 건강검진 수검률
2020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검진 수검률은 62.5%로 전년 대비 7.4%p 감소함

■ 운동
2020년 고령자 운동별 실천율은 걷기 42.3%, 유산소 신체활동 33.2%, 근력운동 22.5% 순

■ 장기요양인정자
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장기요양인정자 비중은 10.3%로 전년 대비 0.6%p 증가함

■ 자산소유액 및 구성
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전년 대비 6천 94만 원 증가한 4억 1,048만 원임

■ 은퇴연령층 빈곤율

■ 공적연금 수급률
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55.1%는 공적연금을 받고 있음

■ 고용률
2021년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은 34.9%, 실업률은 3.8%임

■ 노인차별
2021년 성인의 8.7%는 노인이 인권침해·차별을 가장 많이 받는 집단이라고 생각함

■ 주택소유율
2020년 65세 이상 가구주 가구의 67.9%는 주택을 소유하고 있음

※ 출처
2022 고령자 통계 | 전체 | 보도자료 | 새소식 : 통계청
통계청
kostat.go.kr
[행복실태조사] 서울 시민의 행복도(불편한 진실)
[행복실태조사] 서울 시민의 행복도(불편한 진실)
■ 서울시민 행복도 - 평균 6.18점으로 가구소득이나 학력수준에 정비례 - 월 가구소득 200만원 이하인 경우 행복도가 4.76점으로 가장 낮았고, 월 가구소득 700만원 이상인 경우는 6.77점으로 가장
focusedfrantic.com
㎡단가(평단가)로 보는 서울(수도권) 급지 랭킹
㎡단가(평단가)로 보는 서울(수도권) 급지 랭킹
※ 본 포스팅은 아파트투미 '평단가순위' 데이터를 참고하였습니다. ■ 2022년 서울 지역별 ㎡단가(평단가) Top 10 ■ 2022년 전국 지역별 ㎡단가(평단가) 순위 000 : 비서울 1∽10위 ㎡순위 시군구 ㎡
focusedfrantic.com
'Mone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갭투자 가이드] 2주택자 양도세 산출 시뮬레이션 (0) | 2023.06.09 |
---|---|
[갭투자 가이드] 2주택자 양도소득세(양도세) (0) | 2023.06.09 |
[행복실태조사] 서울 시민의 행복도(불편한 진실) (0) | 2023.05.24 |
[재건축 투자] 신길 10구역 남서울 아파트 (0) | 2023.05.20 |
[재건축 투자] 입주권 매수(조합원 지위 승계) (0) | 2023.05.2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