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잇몸이 붓고 피가 나거나, 치아가 흔들리는 증상이 있다면 단순 스케일링이나 약물 치료로는 한계가 있습니다.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치주수술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치주수술이 필요한 경우와 비용 안내를 정리했습니다.
치주수술이란?
- 치주질환(잇몸병)이 심해져 치아를 지탱하는 뼈와 잇몸 조직이 파괴된 경우 시행하는 수술
- 염증 제거, 잇몸뼈 재생, 잇몸 이식 등을 통해 치아 보존이 목적
- 대표 수술: 잇몸 박리 수술, 치조골 재생술, 잇몸 이식술, 치근단 수술
치주수술이 필요한 경우
1. 잇몸 출혈과 붓기가 심한 경우
- 양치할 때마다 피가 나고, 잇몸이 붓거나 통증 동반
- 치주염이 진행되어 염증 제거가 필요
2. 치아가 흔들리는 경우
- 치아를 잡아주는 치조골이 파괴되면 치아 흔들림 발생
- 이 단계에서는 잇몸치료만으로는 불가능 → 수술적 치료 필요
3. 치아 뿌리가 노출된 경우
- 잇몸이 내려가 뿌리가 보이는 치은퇴축(잇몸 퇴축)
- 심미성 문제 + 시린 증상 → 잇몸 이식술 고려
4. 고름이 나오는 경우
- 잇몸에서 고름(농양)이 배어 나오면 이미 염증이 깊이 진행된 상태
- 치주수술을 통해 염증 조직 제거 필수
5. 스케일링·잇몸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
- 정기 치료에도 염증이 반복된다면 치주수술로 접근해야 함
치주수술 비용 안내
1. 기본 비용
- 치주수술 비용은 치아 1개 기준 약 10만 원 ~ 30만 원 선
- 대학병원이나 특수 장비 사용 시 더 높아질 수 있음
2. 수술 종류별 비용
- 잇몸 박리 수술: 10만 원 ~ 20만 원
- 치조골 재생술: 30만 원 ~ 60만 원
- 잇몸 이식술: 20만 원 ~ 50만 원
- 치근단 수술: 20만 원 ~ 50만 원
3. 보험 적용 여부
- 건강보험 적용 범위: 잇몸 질환 치료 목적의 일부 치주수술
- 비급여 항목: 심미 목적(잇몸 라인 교정, 미용 잇몸 이식 등)은 보험 적용 불가
치주수술 vs 발치 비용 비교
- 치주수술: 수십만 원 수준, 자연치아 보존 가능
- 발치 + 임플란트: 100만 원 이상, 수술 부담 + 회복 필요
➡ 가능하다면 치주수술로 자연치아 보존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조기 치료가 비용도 줄인다
치주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이미 잇몸병이 진행된 상태이므로, 조기 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. 치료 시기를 놓치면 발치·임플란트로 이어져 더 큰 비용이 발생합니다. 따라서 증상이 있다면 늦지 않게 치과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.
[건강] 잇몸이 천천히 내려간다고 느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? -> 올바른 칫솔질 습관이 가장 중요
[건강] 잇몸이 천천히 내려간다고 느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? -> 올바른 칫솔질 습관이 가장
거울을 볼 때 치아가 길어 보이거나, 양치할 때 잇몸이 조금씩 내려가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를 **치은퇴축(잇몸 퇴축)**이라고 하는데, 방치하면 치아 뿌리 노출, 시린 증상, 치아 흔
focusedfrantic.com
[건강] 치아 뿌리 손상, 초기 대응이 중요한 이유 -> 치료 범위가 달라짐
[건강] 치아 뿌리 손상, 초기 대응이 중요한 이유 -> 치료 범위가 달라짐
치아 건강은 나이가 들어도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 특히 치아 뿌리 손상은 한 번 진행되면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치아 뿌리
focusedfrantic.com
반응형
'Healt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건강] 잇몸병에 비타민C는 추천하는 이유와 섭취방법 -> 면역력 강화와 잇몸 조직 보호 (0) | 2025.09.02 |
---|---|
[건강] 치주질환(잇몸병)에 좋은 영양제 추천 -> 세균 감염뿐 아니라 면역력 저하, 영양 불균형과 밀접 (1) | 2025.09.02 |
[건강] 잇몸이 천천히 내려간다고 느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? -> 올바른 칫솔질 습관이 가장 중요 (0) | 2025.09.02 |
[건강] 몸 안 좋을 때 잇몸이 내려가는 이유 -> 면역력 저하, 스트레스와 호르몬 변화 (0) | 2025.09.02 |
[건강]대학병원 보존과 꼭 가봐야 하는 경우 -> 재신경치료, 치근단 수술 같은 고난도 치료 (0) | 2025.09.02 |
댓글